안녕하세요,
도시 명상가 보미입니다.
저는 빠른 도시 속에서 느린 시간을 만드는 움직임을
일상과 함께하고 있어요.
자전거를 타고, 두 발로 달리고, 물살을 가르고,
매트 위에 오르는 저의 도시명상들.
그 시간을 통해서 삶의 중심을 잡아갑니다.
뒤죽박죽 한 일상을 정리하고,
내가 누구인지를 알아가는 시간이죠.
사람들이 MBTI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싶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단 열여섯 가지로 사람들을 구별할 수 있을까요?
그 고정관념에 자신을 맞추며 잠재력을 가두게 될 수도 있어요.
쉽게 얻은 단순한 정보들은 삶에 영감을 주지 못합니다.
저는 삶에 틈틈이 자리한 '도시명상'의 시간을 통해
차근차근 일상을 정리하며 앞으로 나아갈 발판을 얻고,
평범한 일상에서 영감을 얻을 기회를 만들어 갑니다.
요가와 명상을 안내하게 된 것 또한
그 시간들이 쌓여 만든 좋은 선택이었지요.
그리고 요가와 명상을 나누는 저의 삶 속에서
크나큰 사유의 지점을 마주했습니다.
1.사람들은 어떤 형태로든 내적 사유의 시간의 시간이 필요하고,
2.그 형태는 사람의 생김새 만큼이나 다양한 모양이라는 것.
이 사유의 씨앗은 제 안에서 사랑과 고뇌의 양분을 먹고 자라며
지금의 <도시명상>을 싹 틔웠습니다.
사람들에게 '느린 시간'을 통해 내적 사유의 필요에 대한 영감을 주고,
다양한 형태의 명상의 방법을 제안하며 자신만의 느린 시간을 찾아 나갈 수 있도록 해보자는 빛나는 싹 말이죠.
그래서 <도시명상>에서는
청소를 하고, 설거지를 하고. 아침 커피 한잔을 마시는 것,
책을 읽는 것, 술과 와인, 다도를 즐기는 것, 음식을 먹는 것,
걷고, 달리고, 산을 오르고, 자전거를 타고 수영을 하는 것도,
등산, 캠핑, 여행을 떠나는 것도 모두 명상이라 말합니다.
이 모든 것은 저 스스로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닙니다.
세상으로 뛰어들어 사람들 틈에서, 사람과 세상과의 연결 속에서 비로소 더 깊은 가치를 배웠고,
사랑으로 관찰하며 경험 되어진 것입니다.
자신을 찾아가는 스스로의 내적 사유의 시간을 지나,
비로소 ‘현재’ 위에서 다른 존재들과 연결될 때
더욱 깊고 다양한 삶의 가치를 배우고,
자신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음을 경험했습니다.
우리가 꼭 ‘관계’로 나아가지 않더라도 말이죠.
지금 여기, 이 순간 저의 삶이 그러합니다.
아마 나와, 우리의 사유가 쌓여감에 따라,
또 더 많은 존재와 연결되며 <도시명상>은 계속해서 흘러가겠죠.
행복의 형태를 감히 규정하고 싶지 않지만,
매 순간 도시명상을 통해 건강히 사유하는 사람들과 연결되며
느끼는 이 감정은 분명 행복의 형태라 확신합니다.
열린 마음으로 저희와 연결되어 주세요.
여러분 안에 온기를, 우리의 온기 안에서 거울 보듯 비춰보세요.
지금 삶의 어떤 여정에 머무르고 있던,
지금 여정 위에 필요했던 바로 그것을 채워가세요!
여러분. 못다 한 이야기는 만나서 하는 걸로 해요.
그럼, 곧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보미 드림
더블클릭하여 내용 수정. 단락 구분(P 태그)은 Enter로,
줄 바꿈(BR 태그)은 Shift + Enter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